본문 바로가기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니콜라우스 스테노는 어디서 튀어나온 듣보잡일까? (1/2)







구글은 111일에 니콜라우스 스테노 탄생을 기념하는 로고를 대문에 달아 놓았다. 아마도 대다수의 사람들은 영~ 생소했을 그의 이름을 보며 그냥 그 동네에서 유명한 사람인갑다 하며 넘겼을 것이다.

문제는 호기심 가득한 이들이 그가 누군지 클릭했다가, 무려
위대한 창조학자라고 소개되어 있는 것을 보게 되면서 이름도 생소한 이 형님은 머나먼 이국 땅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말았다.

구글에서 올린 프로필을 보면
,

"니콜라스 스테노는 자신이 직접 관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론을 수립해 과학적 방법을 연구에 도입한 지질학자로 알려졌으며, 지층의 누적에 대한 이론을 발표해 층서학의 아버지로도 불립니다."

라고 떡하니 쓰여 있다.

이 말 대로면
위대한 창조학자가 아니라 창조학을 깨부순 위대한 지질학자가 되어야 하는 게 아니던가. 도대체 이런 아이러니한 프로필을 가지고 있는 이 형님의 정체는 대체 무엇일까?!




형님의 이름은 라틴어로 니콜라우스 스테노
(Nicolaus Steno, 1638~1686)이며 코펜하겐에서 대장장이의 아들로 태어났다. 가난한 집안에도 불구하고 그는 일명 개천 출신의 용으로 거듭나며 우선은 천부적인 해부능력을 바탕으로 해부학자로 이름을 떨치기 시작한다.

17
세기의 유럽은 갈릴레오가 뿌려놓은 과학의 씨앗들이 꽃을 피우며 과학혁명의 절정으로 치닫고 있던 시기였다. 이런 분위기를 타고 데카르트는 세상 만물은 마치 기계처럼 움직인다는 기계론을 들고 나오며 시대 트렌드를 만들었다. 이러한 기계론 열풍은 당연히 인간과 동물은 어떻게 움직이는 것일까?’, ‘ 심장을 뛰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와 같은 우리 인체의 신비를 설명하는 데에도 어김없이 적용되었다.

특히 기계론의 아빠라 할 수 있는 데카르트는 자기 분야도 아니면서 아무데나 기계론의 잣대를 갖다 대며 똥고집을 부리고 있었다
.


윌리엄 하비(William Harvey, 1578~1657)


17 세기 초의 의학계에는 훌륭하신 하비형님이 나타나셔서 아직까지도 의학계의 수학의 정석 같은 구닥다리 갈레노스의 이론들 중 심장과 혈액순환에 관한 내용을 버전업시키고 있었다. 하비는 심장은 근육질이고 강력한 심장 근육의 수축에 의해 피가 동맥으로 뿜어져 나간다고 하였다. 그러나 데카르트는 심장이 근육 펌프라는 하비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심장은 피가 증발할 때까지 피를 가열하는 수동적인 기관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증발된 피는 심장을 부풀리면서 동맥에 압력을 가하며, 이 압력이 맥박의 원인라고 본 것이다.

기계론이 비록 시대적 트렌드이긴 했지만 이 이론은 교회의 심기를 불편하게 만들고 있었다
. 기계론 말마따나 세상 만물이 능동적인 자아를 가지고 알아서 움직인다면 신은 실업자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기계론에 관한 논쟁은 위에 적은 것처럼 데카르트가 심장을 가지고 떠드는 바람에 하비까지 끌어들이게 된다. 데카르트의 심장에 대한 주장은 하비의 혈액순환 개념을 변용해서 사용했기 때문이다. 데카르트는 그의 추종자들과 함께 하비가 정립한 개념을 제멋대로 바꾸어 써댔다.

하비의 이론은 데카르트와 달랐지만 그는 여러 가지 개인사정으로 데카르트와 말싸움할 시간이 없었고 결국 하비형님은 제대로 따지지도 못하고 세상을 뜨고 만다
.

이런 기계론 추종자들의 분야를 넘나드는 참견은 스테노 형님의 시대에 까지 계속되었다
. 뛰어난 해부학자인 스테노는 해부를 통해 심장이 신축성 있는 섬유들의 뭉치이며 누구들 말마따나 생기를 불어넣으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미 기계론이 사회, 과학 전반에 똬리를 틀고 앉아있었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심장이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혈기 왕성한 한창 나이였던 스테노 형님은 하비 형님처럼 가만히 있지 않았다
. 그는 1665년 파리 강연을 통해 기계론자들에게 뻐큐 한방을 찰지게 날려 주신다.

파리 강연은 뇌에 관한 것이었다
. 뇌 조직은 연하고 부드러워 해부하기 무척 어려웠다. 따라서 뇌의 구조와 운동에 관한 추측이 난무했고 당연히 참견쟁이 데카르트 역시 일찌감치 한마디 거들었다. 데카르트는 영혼이 송과선 안에 들어앉아 꼭두각시 인형처럼 조직의 끈을 비틀고 돌리고 잡아당기면서 신체를 조절한다고 주장했다당연히 데카르트의 이런 주장은 해부학적 관찰이 아닌 송과선에 앉아있는 영혼의 연역적 추론을 통해서였다.


철이가 앉아있는 곳은 마징가의 송과선이다!

 



스테노는 해부를 통해 알게 된 뇌의 구조에 관해 발표하며 송과선은 스스로 움직일 수 없음을 밝혀내어 기계론자들의 뇌 이론에 냉수마찰을 해준다. 그러면서 스테노 형님은 과학은 자연을 관찰한 사실을 근거로 삼아야하며 제아무리 명쾌하다고 할지라도 순전한 추론을 근거로 삼아서는 안된다고 카리스마 있게 경고하였다.

스테노 형님의 이런 뛰어난 해부학적 지식은 이후 지질학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얻는데 귀중한 시발점을 만들어 준다.



2부에서 계속 ......


영진공 self_f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