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는 말이 있다.
뻔한 얘기일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그 명제가 항상 성립하는 것도 아니다. 조직사회나 팀스포츠에서 개개인을 어떤 틀이나 목표에 묶어서 조련을 하고 독려를 하면 그 개인 각각의 역량을 합친 것보다 훨씬 뛰어난 결과를 얻어낼 수 있겠지만 반면에 그 틀이 엉성하거나 감독의 방식이 그르면 오히려 결과는 매우 허접해지게 되기도 한다. 그렇게보면 저 말은 그렇다라는게 아니라 그래야한다라는 말로 볼 수도 있겠다.
그런데 부분의 합보다 큰 전체의 속내를 보면 그 안의 부분들이 고르게 더 나은 결과를 내 주는 것은 아니다. 어떤 단위는 역량보다 몇 배 뛰어난 결과를 내놓기도 하고 어떤 단위는 역량에 근접하는 결과를 내놓기도 하며 또 어떤 단위는 아예 결과를 깎아먹기도 한다. 그러다보니 같은 틀 안에 있으면서도 어떤 단위는 슈퍼스타가 되고 어떤 단위는 소위 "Loser"가 되는 것이다.
하나하나를 놓고 보면 그닥 차이가 없어보이는데도 왜 이렇게 극단적으로 달라지는 걸까. 비슷해 보이지만 서로 많이 다른 단위들을 하나의 틀에 넣어 일정한 목표를 향해 매진하다보면 모든 단위에게 어느 정도의 획일성과 몰개성이 요구되기 마련인데, 이를 잘 받아들이면서 훌쩍 뛰어 넘으면 슈퍼스타가 될 터이고 그저 받아들이기에 급급하면 필요하지만 눈에는 띄지 않는 단위가 될 터이며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하면 루저가 될 터이다.
루저를 지나쳐서 아예 탈락자가 나오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 중에서도 개별의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그저 섞이지 못하거나 섞임을 견디지 못해서 그리되는 경우가 생기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개별의 능력이 부족함에도 전체에 어떤 형태로든 과다밀착하여 마땅한 것보다 더 큰 이득을 챙기는 경우도 또한 자주 발견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전체라는 틀을 견디지 못해 탈락하는 이들은 그저 못난이에 불과한 것일까.
그게 그렇지만도 않은게, 전체 속의 유용한 부분으로 기능하는 것에 서투른 이도 홀로 무언가를 만들고 능력을 발휘하는 데에는 매우 뛰어난 경우가 많이 있다. 역사를 살펴보거나 아니면 그저 주변을 슬쩍 둘러보아도 그런 예는 쉽게 찾아볼 수가 있다.
이쯤되면 전체와 부분을 구분한다는게 무의미해 보이기도 한다. 전체 속에서 훌륭히 기능하는 단위는 따지고 보자면 유능한 Soloist인 것이고, 전체라는 틀을 견디지 못하는 Soloist도 그에게 맞는 전체가 주어지면 또한 훌륭한 단위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영화 속 주인공 나다니엘 (제이미 폭스 분)에 대해서 국내 홍보문구는 "삶의 길을 잃어버린 천재 음악가"로 써놓았는데, 사실 영화 속 내용에서는 나다니엘을 천재라고 묘사하고 있지 않다. 다만 그의 어린 시절 고향 마을의 선생님이 그의 어머니에게 자기가 본 아이 중 가장 재능있다고 한 부분이 나올 뿐이다. 그래서인지 미국의 홍보태그도 "Nathaniel Ayers had lost his way. He was about to get a second chance. (삶의 길을 잃은 나다니엘, 두 번째 기회를 얻으려하다.)"라고 돼있다.
여하튼 첼로연주에 재능을 가진 나다니엘은 집안의 기대를 한 몸에 받으면서 당시 인종차별이 심각했던 미국의 세상사가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해서는 애써 무관심한채 오로지 밤이고 낮이고 첼로에 몰두하였고 '홀로' 연습하였다.
그리하여 마침내 음악계의 재능있는 젊은이들을 모아 가르치는 걸로 유명한 줄리어드 스쿨에 입학하게 된다. 허나 그 순간부터 나다니엘은 길을 잃기 시작한다. 재능있기로는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든 동료들과 함께 수업을 들으면서 그는 함께 연주하는 것에 두려움을 가지게 되고 결국에는 정신건강의 문제가 겹치면서 낙오를 하고야 만다.
그리고 많은 세월이 흘러 거리의 부랑자로 살아가던 나다니엘은 우연히 유명 신문 칼럼니스트 스티브(로버트 다우니 쥬니어)의 눈에 띄게 되고, 첼로를 연주하는 부랑자라는 점에 끌린 스티브는 나다니엘을 정상(?)의 삶으로 끌어올리고자 애쓰게 된다.
최소한의 주거 공간과 생활환경을 제공하고 자신의 영향력을 활용하여 유명 지휘자와 종교인 등에게 소개를 시키고 후원을 부탁하는 등 스티브는 나름의 최선을 다해 나다니엘을 정상인, 아니 그 이상의 훌륭한 연주가로 다시 태어나게 만들고자 하였다.
그런데 그건 어디까지나 스티브가 그리는 그림일 뿐이었고, 나다니엘에게 두 번째 기회를 주겠다고 발벗고 나선 이들 누구도 정작 나다니엘의 입장에서 상황을 볼 수가 없었다. 그들은 애초에 나다니엘이 견뎌내지 못했던, 그래서 벗어나야만 했던 틀과 유사한 틀을 다시 씌워주려 했을 뿐이었다.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라"라는 말이 있다. 그런데 이 말은 여러가지로 다르게 다시 해도 무방하다. "절이 싫으면 뜯어 고쳐라", "절이 싫으면 사람들을 모아 새 절을 만들라", "절이 싫으면 힘을 길러 주인이 되어라", "절이 좋으면 사람들이 더 모이게 애쓰라" 등등 ......
하나의 절이라는 전체가 훌륭한 각 구성 부분들이 합쳐져서 그렇게 좋아진 것 만큼이나, 각각의 구성 부분을 전체로 잘 아우를 수 있어야 좋은 절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하여 전체와 부분은 긍정적인 조화를 이루어야 하고, 전체를 위해 부분이 과도하게 희생하거나 일부가 전체인양 모든 걸 좌지우지 해서는 안된다는 것은 굳이 말로 다시 쓸 필요가 없겠다. 그러니 절이 싫으면 떠나야 할 것이 아니라 전체 틀이 잘못되었는지 또는 구성 부분이 문제가 있어서인지를 잘 가려서 그에 따라 대처하면 될 터이다.
그런데 문제는 그게 잘 안된다는 데에 있다. 보통 부분은 전체에 비해 힘이 턱없이 적고 여러 부분들이 힘을 합쳐도 기존의 전체와 맞선다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대개의 경우 중들이 떠나고 만다.
오늘도 나의 솔로는 경계선에서 연주되고 있다. 내가 속한 전체의 중간 쯤에서 밀려나지 않으려 애쓰면서도 동시에 그 전체의 문제점에 대해 적절히 분노하려고 한다. 월등히 뛰어난 솔로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아주 형편없이 초라한 연주도 아니다. 이런 솔로는 매우 많아서 보통 다른 이들의 연주와 뒤섞여 그냥 퉁쳐서 한묶음으로 들린다. 참 피곤하면서 티도 안나는 솔로다.
월등히 뛰어난 솔로들 중에도 어느 하나는 전체를 이끄는 한편, 어느 솔로는 전체와 동떨어져서 홀로 연주하곤 한다. 또 다른 누군가는 퉁쳐서 한묶음 속에서 연주하면서 거기에서도 나서보겠다고 하는가 하면, 누군가는 그 속에서 연주도 안하고 놀면서 묻어가려고 한다. 이 중에 어느게 좋은 건지, 맞는 건지는 당연히 각자의 입장과 생각에 따라 달라질 터이지만.
자, 당신의 솔로는 어떠하신지. 오늘도 무사히 그럴듯하게 연주되고 있나요.
영진공 이규훈
'공화국 브리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즐겁고 행복한 설날 보내세요. (0) | 2011.01.31 |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0) | 2011.01.03 |
[근조] 故 리영희 (0) | 2010.12.06 |
[근조] 삼가 고인들의 명복을 빕니다. (0) | 2010.11.24 |
즐겁고 풍요로운 한가위 맞이하세요 ^.^ (0) | 2010.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