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루먼 쇼』 각본, 『가타카』와 『시몬』 각본/연출이라는 이력에서 바로 보이듯 "앤드류 니콜"의 각본은 어마어마하게 참신한 아이디어를 탄탄한 이야기로 바꾸어내는 가운데 현대 사회에 대한 풍자와 비판을 담는, 다소 우화적인 성격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재능은 아무나 부여받지 못한 것, '내러티브의 부재'라는 악질 고질병을 전세계 영화계가 겪고있는 가운데 "앤드류 니콜"이 (아무리 자신의 고국에선 베테랑이었다 한들) 미국에서 짧디짧은 경력으로 감독 데뷔를 하고 필모그래피를 이어올 수 있었던 건 바로 이러한 재능 때문이었을 것이다. (『트루먼 쇼』는 연출을 남에게 '뺏긴' 케이스다.) 그리고 나는 "앤드류 니콜"의 영화에 대해 항상 '눈알 튀어오는 각본, 거기엔 살짝 미치지 못하는 솜씨의 연출'이라고 생각해 왔다.
『로드 오브 워』는 영화보다 시나리오를 먼저 봤는데, 시나리오를 읽으면서 내내 고개를 갸웃했다. 일단 기존 세 작품과 너무나 이질적인데, 상상의 영역은 빠졌고 대신 발로 뛴 취재가 자리를 메운다. "앤드류 니콜"도 한번쯤은, 가정된 특수 전제 하에서 펼쳐지는 우화같은 영화가 아닌 직설법으로 현실을 다루는 영화를 해보고 싶다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문제는 그의 연출인데, 기존 영화들에서 워낙의 참신한 이야기가 그의 연출의 취약점을 살짝 가려주었다면, 이번 영화에서 그의 취약점이 고스란히 드러났다고 생각한다.
『로드 오브 워』의 야심이 그리 무의미한 것은 아니다. 우리가 종종 망각하긴 하지만 전쟁도 엄연히 '산업'에 기반한 일련의 행위이며, 그 자체로 하나의 '산업'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당연히, 전쟁에서 개죽음을 당하는 젊고 어린 청춘들이나 이들에게 명령을 내리는 이들 뿐만 아니라, 이들이 사용하는 무기들을 만드는 제조자는 물론 이것을 팔아 먹고사는 (정도가 아니라 부를 축적하는) 사람도 존재하기 마련이다.
그걸 국가가 하면 '군수산업'이 되고 개인이 하면 '무기 암거래상'이 된다. 이러한 무거운 이야기를 한 명의 무기 암거래상을 통해 전개하기 위해, "앤드류 니콜"은 실제 무기 암거래상들을 취재해 이들의 이야기를 녹여내 유리 올로프라는 캐릭터를 만들어낸다.
자본주의 사회 노동의 핵심인 '소외'를 스스로, 적극적으로 체화한 인물이다. 영화는 철저하게 유리 올로프("니콜라스 케이지")의 시점으로 진행되면서, 그는 영화의 시작부터 끝까지 시종일관 덤덤하게 내레이션을 끌어간다. 그의 내레이션, 그의 행위, 그의 말들엔 어떤 인간적인 감정이나 가치판단 같은 것이 들어가지 않는다. 자신의 사랑하는 동생의 죽음 앞에서도 그는 묵묵히 '사업'을 계속할 뿐이다. 이러한 극단적인 드라이함과 상인으로서 자신이 취급하는 품목에서의 적극적/자발적 소외는 "앤드류 니콜" 특유의 캐릭터라이징 방법을 통해 블랙유머마저 띈다.
문제는 '발로 뛴 취재'로 쓴 시나리오가 종종 처하는 함정, 즉 '버리기 아깝다보니' 시나리오에 다 우겨넣고 쳐내질 못하다가 시나리오 전체가 비틀거리는 잘못을 이 영화도 저지르고 있다는 것이고, 유리 올로프라는 인물에 초점을 맞출 것인가, 아니면 그를 둘러싼 국제 전쟁 환경에 초점을 맞출 것인가, 에서 균형이 무너져내렸다는 것이다. 시나리오에서는 보다 인물에 초점이 맞춰졌던 것이, 실제 영화에서는 그 수많은 '실제' 무기들에 영화를 찍는 니콜 자신도 압도를 당해서인지, 무게중심이 많이 이동을 했는데, 그 결과 이도저도 아닌 어중간한 포지셔닝 속에서 영화가 자주 지루해진다.
게다가 그런 끔찍한 소재는 사실 아무리 극단적으로 물신화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관객들이라 한들, 심정적으로 거부감과 영화에 대한 진입장벽을 느끼기 마련이고, 이는 영화를 찍는 "앤드류 니콜" 자신마저도 그랬던 것같다.
일단 영화에서 주로 나오는 전쟁들, 즉 유리 올로프가 주로 무기를 팔아먹었던 전쟁의 무대가 되는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등의 그 참혹한 내전들은 국제사회에서도 관심을 덜 받는 곳들일 뿐만 아니라 열 서너살짜리 아이들이 (어설프게) 무장을 하고 또 죽고마는 그 끔찍한 장면들을, 감독은 냉혹한 냉소로 있는 독하게 그대로 보여주면서 관객에게 역설의, 무언의 강렬한 충격을 안겨주고자 했던 것 같지만, 그런 장면들에서조차 종종 말하자면 '감독의 안절부절함'이 느껴지면서 결과적으론 관객들에게 별다른 충격도, 그렇다고 혐오감도 안겨주지 못하는 듯하다.
게다가 유리 올로프라는 인물도 별 매력없기는 마찬가지. 미국의 혹자는 "니콜라스 케이지"의 연기를 한껏 칭찬했다지만, 내가 보기엔 글쎄올시다다. 유리 올로프는 관객들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혐오감을 주면서도 , 현대 관객들마다 가지고 있는 양심과 지책감을 자극하면서 도저히 미워할 수 없는, 아니 그의 일련의 행위들을 불편한 마음으로 묵인할 수밖에 없는 일종의 죄책감 어린 '공범체제'를 구축하게 만드는 악당이어야 하지 않을까? (그의 '느물거리는' 태도는 블랙유머뿐 아니라 바로 이 지점을 공략해야 했다)
그 면에서 완전히 실패한 듯 보인다. 유리 올로프라는 인물을 보며 '그래서 어쩌라고?'와 같은 냉소밖에 안 드는 것, 나아가 그가 내면적으로는 꽤 충격이고 괴로웠으나 그걸 의식의 차원에서 계속 억누르고 계속 두텁게, 두텁게 방어막을 치느라 더욱 드라이해질 수밖에 없는 몇몇 장면들(예컨대 동생의 죽음, 선배 암거래상인 와이즈 살해 등)에서조차 별다른 동정심도, 응당 뿜어져 나와야 할 '비극적 인물'의 아우라에 대한 연민도 느껴지지 않는 것은, 각본에서부터 문제가 있었고 연기 측면에서 더욱 문제가 심화됐다.
그러니, 영화 막판에 이르러서, 결국 인터폴 잭 발렌타인의 집념의 성과로 그가 체포된 뒤 '전세계 최고의 무기 거래자는 미국 대통령'이라는 덤덤한 사실 진술이나 재판도 없이 풀려나는 장면이 응당 줘야 할 감정적인 클래이맥스는 그저 맥빠지고 심심한 장면들이 되고 만다. 전세계 최고의 전범이 미국 대통령이란 건 누구나 다 아는(그러나 아무도 공식적으로는 말하지 않는) 사실인데, 이것이 거기서 직접적인 대사로 언급되면서 감독이 노렸던 효과, 그 직설법의 대사가 주인공의 입을 통해 '공식적으로 선언'되면서 마땅히 가져야 할 울림을 갖는 데에 실패하는 것은, 영화가 계속 갈팡질팡한 결과인 것이다.
시나리오를 먼저 읽고 영화를 본 만큼, 나는 애초에 "앤드류 니콜"이 각본에서 했던 대로 철저히 인물에 포커스를 맞추면서 영화 찍는 도중 갖게 되는 이러저러한 욕심들을 단호하게 자르고 버렸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전쟁의 스펙터클을 소비하기 위한 영화가 아니라(개인적으로 그 류를 별로 좋아하지도 않지만) 전쟁의 이면, 그것이 얼마나 철저한 자본주의적 법칙을 따라가는 비즈니스인지를 보여주고자 했다면, 각종 실제 무기들의 스펙터클에 인물이 눌려서는 안 되었다.
게다가 그런 무기들의 스펙터클은 그저 자주 보여준다고 획득되는 것도 아니다. 정말로 보여주고자 하는 '스펙터클'의 효과는 오히려 '감추는' 데에 있다.
ps1. 니콜라스 케이지는 정말 무색무취의 배우다. 도대체 어떤 역할을 하건 그 인물의 고뇌와 내면의 밀도 같은 게 이젠, 안 느껴진다. 하긴 그 점이 그를 자꾸 블록버스터의 주인공으로 끌어당기게 하는 힘이 되는 건지. <아리조나 유괴사건>이나 <광란의 사랑>에서의 니콜라스 케이지는 완전히 죽어버린 것같다.
ps2. 제레드 레토는 언제나 누군가의 동생, 이구나 ...
ps3. 우리의 이안 홀름 아저씨는 아무리 카리스마 넘치는 무기상으로 나와도 걍 '빌보 배긴스'로 보인다. -_-;;;
ps2. 제레드 레토는 언제나 누군가의 동생, 이구나 ...
ps3. 우리의 이안 홀름 아저씨는 아무리 카리스마 넘치는 무기상으로 나와도 걍 '빌보 배긴스'로 보인다. -_-;;;
영진공 노바리
'산업인력관리공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조] 김인문 (0) | 2011.04.26 |
---|---|
[근조] 시드니 루멧 (1) | 2011.04.20 |
[근조] 엘리자베스 테일러 (0) | 2011.03.24 |
[근조] 최고은 (1) | 2011.02.08 |
[근조] Gary Moore (1) | 2011.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