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미국. 듣기만 해도 가슴이 뛰었던 그 나라.
그 나라엔 초콜릿이 산처럼 쌓여있고, 코카콜라가 강물처럼 흐르고 있으며, 석유가 화산처럼 분출하고 있었다.
그 나라 사람들에겐 표현의 자유와 사상의 자유가 있고 언제나 귀를 즐겁게 해 주는 팝송이 있고 마음 내키면 아무데서나 뽀뽀할 수 있다 했다. 오죽하면 포르노까지 세계 최고라 하지 않았던가.
그랬었다.
그렇게 그 나라는 낙원이었다.
그 나라에선 흑인, 백인, 아시아인, 중남미인, 러시아인 할 것 없이 다 어울려 잘 산다 했다. 차별 없이 같은 기회가 주어지는 Land of Opportunity라 했다.
아프리카 오지에서 태어난 아사 직전의 어느 소녀는 미국에 와서 엄청난 돈과 명성을 얻었다. 러시아 벽촌에서 살던 어느 아이도 미국에 와서 주체할 수 없이 많은 돈과 명성을 얻었다. 아시아에서 온 어느 소년도 미국에서 큰 돈을 벌고 상상할 수 없이 화려한 삶을 살고 있단다.
그런데 그 동화는 이제 없다.
젖과 꿀이 끊이지 않고 흐를 것 같던 그 땅이 이젠 더 이상 낙원이 아닌 것이다.
그 곳에 사는 행복해 보이는 사람들도 실은 한 끼 밥을 벌기 위해 고달피 땀을 빼야 하고 하루의 삶을 살아내기 위해 다른 이들과 부대껴야만 하는 것이다. 남들보다 조금 부유한 이들도, 남들보다 좀 더 좋은 직업을 가진 이들도 자기들끼리 고고하고 우아하게 살아지질 않는다.
글쎄, 저 위 아주 까마득한 곳에 옹기종기 모여있는 소수들의 삶은 어떨지 몰라도.
그런데 도대체 왜 언제부터 자유와 기회의 땅이라던 미국이 이렇게 돼 버렸을까.
그에 대한 대답은 아주 간단하다. 거기도 사실 처음부터 그랬던 것이다.
다만 화려한 앞 모습 뒤에 애초부터 함께 있던 어두운 부분이 가리워지기도 하고 또 보는 이들이 애써 보려 하지도 않았기에 그 곳이 마치 낙원처럼 또 동화의 나라처럼 보였던 것뿐이다.
그 나라와 그리고 거기에서 유복하게 사는 이들이 세상에 없는 걸 만들어 내어 그걸 가지고 부와 행복을 누렸던 게 아니었던 것이다. 다른 이들의 것을, 혹은 스스로 제공케 하고 혹은 뺏어오고 혹은 더 많이 가지고 하여 그렇게 멋져 보이게 만들었던 것이다.
그런데 그렇게 멋져 보이는 꺼풀을 걷어내고 들여다보니 거기도 별 다를 것 없이 사람끼리 부대끼고 부딪치고 그러면서 살아가야 하는 그냥 그런 세상이다.
오랫동안 가리워져 보이지 않던 꺼풀 속의 그 모습이 이제 더 이상 숨겨지지 못하고 있는 대로 내보여지고 있는 것이다. 동화 속의 나라는 저 멀리 별 나라에 원래부터 있었다고 애써 믿고 살던 그들이 더는 그러지 못하게 된 것이다. 동화 속의 나라는 저 혼자 따로 존재할 수 없으며 그걸 떠받치는 다른 쪽이 존재하여야 한다는 걸 인정해야 하는 것이다.
미국이라는 동화 속의 나라에서는 각 개인의 범위를 침범치 않는 것이 미덕이었다.
내가 잘 나서 나를 챙기면 되고 다른 이들은 스스로 자기를 챙기면 된다고, 그러다 보면 모든 게 다 잘 되는 거라 하였다.
그런데 결국 내가 잘 나서 더 많이 챙기고 더 행복한 이면에는 잘 나지 못해서 덜 가져가고 그래서 불행한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내가 남 보다 더 많은 걸 가져가려면 다른 이들과 부대껴야 하고 부딪혀야 한다. 우아하고 품위있는 선자(善者)에게 남이 스스로 부(富)를 가져다 주지 않는다. 우악스럽거나 교활하게 부나 명성을 추구하는 이에게 비슷한 부류가 아니라면 스스로 존경과 사랑을 보내지도 않는다.
내가 원하는 걸 가지려면 저 멀리 구름 위에 있으면 안 되고 원하는 게 있는 곳에 있어야 한다. 내가 원하는 건 남들도 원하기에 그걸 더 가지려면 서로 부딪혀야 하고 때에 따라서는 적당히 나누기도 해야 한다.
다 가질 수는 없다.
어느 하나를 가지려면 그만큼은 아니더라도 남에게 뭔가 주어야 한다.
한 동네에서 왕자인 사람이 다른 동네에서는 조직폭력배 수괴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이다.
그게 자본주의다.
그게 자본주의 미국이 사는 모습이다.
이제 미국에 더 이상 동화 속 해피엔딩은 없다. 자신들에게 없는 해피엔딩을 남과 함께 나눌 여유나 의도는 더더구나 없다. 있다고 해도 그건 해피엔딩이라기 보단 “그나마 다행”이라 할 수 있을 사건들일 뿐이다.
영화 "21그램"에서 크리스티나("나오미 왓츠" 분)는 이런 말을 한다.
“그래도 삶은 계속된다 (Life goes on).”
달갑지않은 현실을 꼼짝 없이 받아들이며 오늘 하루도 힘겹게 살아가고 있는 이들은 저 말을 습관처럼 입에 달고 살아간다.
영진공 이규훈
'공화국 브리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진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0) | 2012.01.02 |
---|---|
▶◀ 근조 김근태 (0) | 2011.12.30 |
한미 FTA 날치기 처리를 규탄합니다! (0) | 2011.11.23 |
굿모닝 서울 (0) | 2011.10.27 |
넉넉한 마음으로 한가위 맞이하세요 ^.^ (0) | 2011.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