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인력관리공단

"런던의 악마들", 켄 러셀 - 단단히 마음 먹고 봐야 하는 영화







구교와 신교가 한참 충돌하던 때의 런던, 혹은 로우돈은, 막 죽은 총독의 신/구교간 화합 정책 댁에 종교전쟁의 광풍에 초토화되지 않고 살아남았다. 하지만 도시의 자치를 유지하고자 하는 그랑디에 신부는, 도시의 자치를 위협하며 절대왕정을 완성하려는(실은 절대왕정 비즈니스라는 인형극의 조작자가 되고 싶어하는) 당대 최고의 권력가 리슐리외 추기경이 시도하는 농간 속에서, 자신의 난잡했던 여자관계를 꼬투리 잡히고 그를 남몰래 흠모하던 '뒤틀린' 수녀원장 시스터 진의 무고를 계기로 '악마'로 몰리게 된다.

'반기독교적'이라는 딱지가 붙은 채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왔고 이탈리아에서는 심지어 상영금지가 되기도 했던 영화라지만, 오히려 이 영화는 기독교의 제도적 측면의 타락을 신랄하게 공격함으로써 기독교의 본질에 대해 그 누구보다 진지한 성찰을 하고있다는 생각이 든다.

마치, 신성모독이라는 딱지를 부여받았던 케빈 스미스의 『도그마』가 실제로는 더없이 독실한 카톨릭 신자로서의 스미스 감독의 믿음을 증언해 주듯이. 혹은 더없이 '인간적인' 예수를 다룬 『그리스도 최후의 유혹』이 더없이 절절한 신앙을 펼쳐내 보였듯이.




이성과 합리와 과학의 시대라는 '근대'는 그냥 온 것이 아니었다. 근대의 시대는 온갖 과학적 발명과 발견에 힘입기도 했지만, 그 태동기에는 오히려 당대 유일의 지식인층이라 할 수 있는 카톨릭 성직자 중 이단으로, 악마로 몰린 '근대적 인간'들의 무수한 순교에 의한 것이기도 하다. 영화의 주인공, 그랑디에 신부는 바로 그러한 근대적 정신을 가진 근대적 인간이며, 또한 순교자이다.

기독교라는 '종교 체제'에 대한 공격이 언제나 종교의 근원적 가르침에 대한 부정인 것은 아니다. 유럽에서의 기독교 역사는 이 정도의 공격엔 '살살 해줘서 감사합니다' 해야 할 정도로 처절하고 잔혹하고 피의 바다를 이루고 있다. 수많은 안티-크리스트 세력을 키운 것은 기독교이다.

그러나 안티-크리스트 세력이 모두 안티-크리스트인 것이 아니다. 마치 예수가 여호와의 율법을, 깬 것이 아니라 완성시킨 것처럼. 그랑디에 신부가 예수의 이미지와 닮아있는 것은 그러므로, 필연적이다. 물론 "켄 러셀"의 터치는 좀더 관능적이고 섹슈얼한 에너지가 넘치긴 하지만.




"올리버 리드"도 그렇지만 "바네사 레드그레이브"의 연기가 참으로 압권이다. 몸이 뒤틀리고 마음까지 뒤틀린 그녀의 절규와 고통을, 아버지-어머니께서 불쌍히 여기시기를, 그랑디에가 기도했듯.

그랑디에와 쟌느 자신의 입으로 진술되듯, 수녀들의 난동과 광기를 만든 것은 그녀들을 향한 사회의 제도와 억압이었다. 그랑디에가 진에게 그토록 동정적이었던 것은, 그리고 여느 마초 신부들과 달리 매들린("젬마 존스")을 통해 비로소 진리를 향해 한 발 다가간 것은, 그가 이러한 상황들을 꿰뚫어보는 통찰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리라.


난폭하고 관능적인 이미지 속에서 기독교를 다시 성찰하는 이 영화, 내게는 특별한 영화일 수밖에 없다.


[아무나 보고 즐길 수 있는 영화가 아니라는 경고문(?)]



ps.
1. 이 영화의 원작은 올더스 헉슬리의 '다큐멘터리 소설'을 각색한 연극
  『로우돈의 악마들』이다.


2. 매들린 역의 "젬마 존스"는 <브리짓 존스> 시리즈에서 브리짓의 주책바가지
   엄마 팸을 연기한 그 배우이다. 젊은 시절의 젬마 존스는 청초하고 순결한 아름
   다움과 지금 모습의 일부를 갖고 있다.


3. 그랑디에의 영혼은 애초부터 그랑디에의 것이었을지 모르지만, 그녀들의
   영혼은 그렇지 못했다. 악마에게 소유되었다고?
   그 악마는 당시 교회가 아니었던가 ......



 

영진공 노바리